금속이라는 단어는 너무 딱딱하고 먼 이야기 같다. 쇠, 철, 금 그리고 무슨 이상한 이름의 금속들이 튀어나올 것만 같다. 하지만 금속은 우리 생활에 너무나도 가깝고 귀한 존재이다. 이 책은 이 귀하디 귀한 금속에 관한 재미난 이야기이다.

 인류 문명은 금속으로 정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 생각한다. 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와 같이 금속의 발견과 금속을 가공함에 따라 나눈 것은, 인지하지 않고 있었지만 금속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주는 명백한 사실이다. 또한 금속의 중요성에 관해 -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 폰이니, 건축 자재이니, 항공기, 함선 등 - 이야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 책은 구리, 납, 은, 금, 주석, 철, 수은이라는 7가지의 굵직한 금속이 인류 역사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순서에 따라 챕터가 구성되어 있다. 금속이 언제 어떻게 발견되었고, 이를 왜 사용하기 시작했는지에 대해서 가볍고 재미난 역사 사실들을 통해 이야기를 이끌어 간다. 물론 금속이라는 것은 우리의 삶과 너무나 가깝지만 너무 어렵고 먼 느낌이다. 하지만 우리는 인간의 역사를 이야기 할 때 청동기 시대와 같은 것을 잘 알고 있으며, 크롬 도금이나 스테인레스 냄비니 24k와 같은 것들도 쉽게 이야기할만큼 먼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또한 책은 저자들이 아저씨임을 알 수 있게끔 가벼운 아재개그들이 꽤 포함되어 있다, 재미난 부분은 아니지만 이런 부분들이 책의 내용에 대해 좀더 쉽게 다가설 수 있는 긍정적인 부분이라 생각된다.

 나는 이 책을 전자도서관에서 대여를 통해 읽었지만, 내용에 대해 상식적/교양적으로 알아두면 좋을만한 부분을 갖고 있기에 다시 읽게 된다면 구매를 해보고 싶고, 여러 사람들에 게 추천하고 싶다. 책이 갖고 있는 금속이라는 주제만큼이나 어렵지만 가깝게 하고 싶은 좋은 책이다.

Posted by 여행단
:

이 책의 가장 주목할만한 점은 바로 제목이다.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이라니,

 

전공자를 제외하고 인문학을 시작했던 사람이 몇이나 있겠는가.

 

게다가 인문학이라는 학문은 교양으로써, 가장 으뜸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풍요롭고 대단해 보이는 것이다.

 

물론 나도 이 책을 읽게 된 것은 책의 제목이 8할이다.

 

 

2012년 발간된 책으로, 베스트셀러인 이력이 있어서 실은 많은 사람들이 일독에 도전했으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인문학이라는 장르는 그리 만만한 것이 아니었다.

 

심리학, 회화, 신화, 역사, 현대 이전 철학, 현대 철학, 글로벌 이슈와 같은 챕터로 이루어져 있는데,

 

당연히 이 중 한개의 챕터라 할지라도 책 한 권에 담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얇지 않은 560페이지의 책이지만, 챕터가 챕터이니 만큼 독자들도 큰 기대는 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

 

위와 같은 챕터는 쉽지 않다. 그냥 제목이 '심리학' 이나 '회화'와 같이 딱딱하고 무겁다면

내가 이 책을 선택할리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선택했던 이유와 마찬가지로,

가볍게 읽고, 내가 재밌어할 소재를 발굴하는 것이 이 책의 목표라고 생각한다.

 

책을 열어본 것이 2019년인지라 당연히 글로벌 이슈와 같은 챕터는 거의 보지 않았다.

 

저자가 얼마나 통찰력을 갖고 이 책을 썼냐를 기대하기 보다는

얼마나 많은 분야를 흥미롭게 이끌어내느냐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의 장점은 말그대로 시작하게 만들어 준다는 것이다.

 

단점은 명확하게도, 말그대로 시작이라는 것이다. 입문서도 아니고, 개론도 아니다. 그냥 시작이다.

 

//

 

재미있는 부분도 있고, 정말 재미없는 부분도 있다. 이것이 이 책의 본질이라고 생각한다.

 

Posted by 여행단
:

뱅가 - 다대포

일상 2018. 10. 13. 22:49 |

태풍이 지나가자마자의 날, 다대포로 향했다. 가장 유명해보이는 뱅가라는 카페에 들어갔었다. 선택하게 된 것은 당연하게도, 온전히 바다 쫘악-펼쳐진 모습을 기대하고 간것이다. 이것은 맞다. 물론 맞는 것이지만 실은 바다는 지도에서도 확인 할 수 있겠지만, 다대포 방향은 아니다. 그리고 바다가 보이기는 하지만 사진처럼 푸르르진 않다-물론 사진으로는 푸르르게 쉽게 나올 수 있다. 정말 좋은 2인 좌석 2개와 옥상이 있는데, 맘에 든다. 커피 맛도 좋고, 서비스도 좋고, 화장실도 좋다.
뭔가 약간 속은 듯한 느낌이 들지마는 다대포 방향으로 들른다면, 다시 한번 갈만한, 괜찮은 카페이다.

Posted by 여행단
:

황남주택 - 경주

일상 2018. 10. 13. 22:34 |

​경주에 있는 황남주택을 가보았다.
요즘 굉장히 핫하다는 가게 중에 한 곳이라고 한다.
중간에 브레이크타임이 잠시 있어서 본의 아니게 웨이팅을 하긴 했지만, 분위기는 좋다. 야외의 테이블이나, 실내의 사랑방 같은 분위기도.
하지만 뭔가 기다려서 가기에는 먹을거리도 그닥이고, 오로지 분위기 하나이다. 물론 분위기가 전부이기도 하다.
황남주택이라고 써져있는 저 자리에서 사진찍으면 굉장히 잘 나온다는 점이 있고, 더부쓰에서 나오는 긍정신과 같은 특이한 맥주가 있다는 것도 장점일 것이다.

Posted by 여행단
: